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067

아키텍처 스타일, 패턴 (Architectural Style and Pattern) Architecture & Design Pattern 전체 링크  아키텍처 스타일 (Architectural Style)- 시스템의 구조와 구성 요소들 간의 조직된 상호작용 방식을 기술하는 패턴의 집합- 일반적인 설계 접근 방식을 나타내며, 특정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패턴보다는 더 큰 규모와 범위에서 사용- Client-Server, Peer-to-Peer, Event-Driven Architecture,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 아키텍처 패턴 (Architectural Pattern)- 재사용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고수준의 설계 템플릿- 시스템의 기본 구조를 설계하고, 구성 요소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규정하고, 여러 품질 속성을 동시에 고려- MVC 패턴.. 2024. 7. 19.
[코드트리] 코드트리 빵 (삼성 SW 역량테스트 2022 하반기 오후 1번) A형 필수 알고리즘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다면? (인프런 바로가기) 삼성 A형 전체 링크 https://www.codetree.ai/training-field/frequent-problems/problems/codetree-mon-bread 좌표를 관리하기 위한 구조체를 선언한다.depth는 베이스 캠프에서만 사용한다.typedef struct st{ int r; int c; int depth; // for base camp }RC;RC BASECAMP[MAX * MAX];int bcnt;RC STORE[MAX * MAX];RC PLAYER[MAX * MAX]; 사용된 베이스 캠프와 도착한 편의점을 체크하기 위해 2차원 배열을 선언한다.int BLOCK[MAX][MAX]; 2차원 탐색을 위한 배열은 다음.. 2024. 7. 19.
아키텍처 뷰 (Architectural View) Architecture & Design Pattern 전체 링크  아키텍처 뷰 (Architectural View)- 시스템의 구조를 표현한 것으로 시스템 측면을 강조- 시스템의 다양한 측면을 다른 관점에서 표현하고, 시스템을 더 잘 이해하고, 의사소통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 필요- 다양한 이해당사자 관점에서 표현, 복잡도를 관리하고 상호 일관성을 유지한다. 4+1 ViewSEI View Siemens Four View4+1 View Logical View (클래스, 객체 다이어그램)-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다루며, 시스템의 주요 설계 요소와 그 관계를 모델링 Development View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구조)- 소프트웨어의 모듈 구조를 보여주며, 시스템의 소스 코드 구조와 .. 2024. 7. 18.
아키텍처 전술 (Architectural Tactics) Architecture & Design Pattern 전체 링크  참고- 품질 속성 시나리오 (Quality Attribute Scenarios) 품질 속성 Trade-off 관계 가용성 vs 성능높은 가용성을 위한 Redundancy와 장애 조치는 오버헤드로 인해 성능에 영향을 준다. 상호운용성 vs 보안다양한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과 통합을 허용하면, 보안 취약점이 높아진다. 변경용이성 vs 성능모듈화와 추상화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성능 vs 보안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암호화와 인증 과정으로 성능이 저하된다.Availability (가용성)-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사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 Detect Faults (장애 탐지)- Ping / Echo :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2024. 7. 18.
품질 속성 시나리오 (Quality Attribute Scenarios) Architecture & Design Pattern 전체 링크  참고- 아키텍처 전술 (Architectural Tactics) 품질 속성 (Quality Attritbues)-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충족해야 하는 비기능적 특성을 의미- NFR의 구체적인 형태로 시스템의 품질을 측정하고 평가한다.- Availability, Interoperability, Modifiability, Performance, Security, Testability, Usability 등 품질 속성 시나리오 (QAS, Quality Attribute Scenarios)- 시스템의 품질 속성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평가하기 위한 방법 1) 자극원 (Source) : 자극을 일으키는 주체2) 자극 (Stimulus) : 시스템에 영.. 2024. 7. 17.
[코드트리] 산타의 선물 공장 (삼성 SW 역량테스트 2022 하반기 오전 2번, B형) SW 역량테스트 합격하기 A형 강의 오픈!! (인프런 바로가기) 삼성 A형 전체 링크삼성 B형 전체 링크 2022 하반기 이후 문제 풀이 시간이 3시간 → 4시간으로 변경,A형 1문제 + B형 문제 1문제가 출제됩니다. 참고- 해시 테이블 Hash Table- 더블 링크드 리스트 구현 (Double Linked List Tail ver) https://www.codetree.ai/training-field/frequent-problems/problems/santa-gift-factory 문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공장 설립- 입력 값을 처리한다.ID의 범위가 1 ≤ ID ≤ 1,000,000,000이기 때문에,ID가 입력되는 순서(index)를 unordered_map에 저장한다. 물건 하차- 벨트 .. 2024. 7. 13.
[코드트리] 싸움땅 (삼성 SW 역량테스트 2022 하반기 오전 1번) A형 필수 알고리즘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다면? (인프런 바로가기) 삼성 A형 전체 링크 https://www.codetree.ai/training-field/frequent-problems/problems/battle-ground  (r, c)에는 여러 개의 총이 있을 수 있으므로, 2차원 좌표에 1차원 배열을 추가하여 총을 관리한다.int GUN[MAX][MAX][MAX * MAX];int gIndex[MAX][MAX]; 플레이어 정보에는 좌표와 방향, 능력치(s), 들고 있는 총의 power(gun)를 구조체로 관리한다.typedef struct st{ int r; int c; int dir; int s; int gun;}PLAYER;PLAYER player[30 + 5]; 방향을 처리하는 배열은 .. 2024. 7. 7.
[코드트리] 나무박멸 (삼성 SW 역량테스트 2022 상반기 오후 2번) SW 역량테스트 합격하기 A형 강의 오픈!! (인프런 바로가기) 삼성 A형 전체 링크 https://www.codetree.ai/training-field/frequent-problems/problems/tree-kill-all  MAP의 정보를 받기 위해 배열을 선언한다.#define MAX (20 + 5)#define WALL (-1)int T;int N, M, K, C;int MAP[MAX][MAX]; 제초제를 뿌릴 위치와 제초제를 뿌렸을 때 제거될 나무 개수의 정보는 구조체로 관리한다.typedef struct st{ int r; int c; int count;}INFO; 제초제가 있는 위치는 다른 배열로 관리한다.int WEEDING[MAX][MAX]; // 제초제 대각선 탐색을 위한 dr, d.. 2024. 6. 23.
[코드트리] 꼬리잡기놀이 (삼성 SW 역량테스트 2022 상반기 오후 1번) A형 필수 알고리즘을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다면? (인프런 바로가기) 삼성 A형 전체 링크 https://www.codetree.ai/training-field/frequent-problems/problems/tail-catch-play MAP 정보는 다음과 같이 관리한다.value는 입력으로 주어지는 0 ~ 4의 값이고, order는 입력의 1 ~ 3으로 주어지는 사람들의 순서가 된다.loop는 꼬리잡기 루프를 식별하는 번호다.이렇게 값을 정하면 MAP[r][c]에 사람이 있는 경우 점수를 바로 계산하고, 몇 번째 loop인지 알 수 있다.그리고 BFS를 위해 visit을 선언한다.typedef struct st1{ int value; int order; int loop;}MAP_INFO;MAP_INFO.. 2024. 6. 22.
반응형